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 금융사기 피해 회복 시리즈 전체 보기:
    👉 1편 | 2편 | 3편 | 4편 | 5편 | 6편 | 7편

    금융사기 피해를 입은 이후, 누군가는 스스로를 탓하며 무너지고, 누군가는 다시 일어서기 위해 치열하게 싸웁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피해자가 회복에 성공한 이야기를 통해 여러분께 희망과 방향을 함께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절대로 내가 모든 것을 책임질 수 없습니다. 꼭 도움을 요청 하세요.

     

    그리고 이 상황을 해결하고 싶으시면 반드시 가족에게 알리고 함께 해 달라고 하셔야 합니다.

     

    지금 상황에서 혼자는 어렵습니다. 


    🧍‍♂️ 사례자 소개 – 직장인 A씨의 이야기

    • 📌 나이: 50대 초반 / 가족 구성: 4인 가구
    • 📌 피해 유형: 해외선물거래
    • 📌 피해 금액: 4억  (대출 포함)
    • 📌 상황: 실직 + 대출 상환 압박 + 우울감 + 가족 갈등

    ⛓️ 피해 직후 A씨의 상태

    A씨는 피해 후 극심한 수치심과 우울감을 느꼈습니다. 가족과도 소통이 끊겼고, 삶의 의욕 자체를 잃었습니다. 매달 40만원에 달하는 이자를 감당하며 “내 인생은 끝났다”고 느꼈다고 합니다.


    🔄 회복을 위한 4단계 실천 과정

    1️⃣ 감정을 회피하지 않고 인정함

    처음엔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했지만,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도움을 요청해 심리 상담을 시작했습니다.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으며 서서히 안정을 되찾았습니다.

    2️⃣ 신용회복위원회에 채무조정 신청

    은행 대출이 많아 이자를 감당하지 못했지만, 신복위 상담을 통해 연이율 12% → 3.5%로 낮추고, 8년 분할 상환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3️⃣ 정부 긴급복지제도 활용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생계급여와 주거지원, 의료비 일부를 지원받았고, 기초생활수급자 신청도 병행했습니다.

    4️⃣ 자존감 회복 활동 병행

    사회복지관에서 진행하는 회복 프로그램, 취업 재교육 과정에 참여해 삶의 목표를 재정립했습니다. 이후 계약직으로 재취업에 성공합니다.


    📌 회복을 위한 체크리스트

    • ☑ 피해를 숨기지 말고, 감정을 외부로 표현하기
    • ☑ 채무조정 또는 파산보다 먼저 상담 받기
    • ☑ 복지 제도 신청은 타이밍이 생명
    • ☑ 혼자가 아님을 인정하고 전문가 도움 받기

    🙋 실제 피해자들이 자주 묻는 질문 (FAQ)

    Q. 피해 사실을 말하는 게 너무 부끄러워요

    당신이 아니라 사기범이 나쁜 사람입니다. 피해자임을 인정하는 순간부터 회복은 시작됩니다.

    Q. 채무조정을 신청하면 신용등급이 망가지지 않나요?

    일시적으로 영향이 있을 수 있으나, 연체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보다 신복위 조정을 통한 성실 상환 이력이 신용에 더 긍정적입니다.

    Q. 가족에게 피해 사실을 숨기고 싶은데 괜찮을까요?

    심리적으로 고립되지 않기 위해선 신뢰할 수 있는 가족이나 상담자에게 공유하는 것이 좋습니다.


    💬 마무리 한마디

    A씨는 “사기 피해자는 더 이상 숨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기범보다 더 나쁜 건, 피해자가 자기 탓이라며 무너지는 것입니다.

     

    지금 힘들어도, 당신은 반드시 회복할 수 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금융사기 예방 수칙을 정리해드릴게요.

     

     

     

     

    썸네일

    반응형